맨위로가기

평해 황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평해 황씨는 고려 말부터 조선 초중기까지 번성했던 한국의 성씨로, 고려 시대에 재상 3명을 배출하고 조선 시대에는 3명의 공신을 포함하여 5번의 공신 책봉을 받았다. 임진왜란으로 족보가 소실되었으나, 황여일이 1604년에 족보를 간행하여 선조들의 내력을 알 수 있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의 문하시중 황유중, 황서, 황용 등이 있으며, 조선 개국에 기여한 황희석, 황유정 등이 있다. 평해 황씨는 검교공파, 문절공파, 충경공파 세 분파로 나뉘며, 중국 한나라의 황락을 시조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해 황씨 - 황영시
    황영시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10기 출신 군인으로, 육군참모총장 등 군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감사원장까지 지낸 인물이며, 1980년대 신군부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다.
  • 평해 황씨 - 황병서
    황병서는 1949년생 북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에서 활동하며 김정은 정권 핵심 측근으로, 총정치국장,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등 요직을 역임하고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등 주목받았으나, 숙청설 이후 해임과 복권을 거치며 권력 변동을 겪었다.
평해 황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평해 황씨
한자 표기平海 黃氏
로마자 표기Pyeonghae Hwang clan
국가한국
민족해당 정보 없음
관향울진군
기원해당 정보 없음
창시자(황온인)
현재 수장해당 정보 없음
소멸해당 정보 없음
폐지해당 정보 없음
분파해당 정보 없음
마지막 통치자해당 정보 없음
마지막 수장해당 정보 없음
칭호해당 정보 없음
경칭해당 정보 없음
영지울진군
웹사이트황씨종친회
기타 정보
관련 인물황정음
신비
관련 가문해당 정보 없음
특징해당 정보 없음
전통해당 정보 없음
좌우명해당 정보 없음
좌우명 (언어)해당 정보 없음
가보해당 정보 없음
재산해당 정보 없음
집성촌
주요 인물
인구 통계 (2015년)
인구168,374명

2. 역사

평해 황씨는 고려 말~조선 초중기까지 가장 융성하였다.

고려에서 삼중대광 1명, 문하시중 2명으로 재상을 3명 배출하였다. 또한 조선에서는 3명의 공신이 있었다. 그러나 공신 책봉 횟수로 따지면 협찬창조공신, 위화도 회군공신, 개국원종공신, 조선 개국공신 2등, 선무훈이등공신으로 총 5번이 책봉되었다. 덕분에 조선에서 5명이 정승으로 추증되었다.

불행히도 가문의 족보는 임진왜란으로 완전히 소실되어 버렸다. 하지만 다행히도 1604년 선무훈이등공신(宣武勳二等功臣)이기도 했던, 당시 예천군수 문절공파 예빈공파 해월공 황여일(黃汝一)이 새로이 평해 황씨 족보인 평해황씨초간세보(平海黃氏草刊世譜) 간행하였다. 덕분에, 아직도 선조들의 관직, 배우자, 묘소의 위치 등을 비교적 상세히 알고 있다.

평해 황씨는 조선시대 급제자는 문과 22명, 무과 급제자 19명, 사마시 47명, 역과 2명을 배출하였다.[8]

평해 황씨의 주요 선조들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을 빛냈다.

3세조 황유중(黃裕中)은 고려 종1품 문하시중(조선의 정승, 현재의 총리)을 역임했다. 그의 아들 황진, 황서(黃瑞), 황용은 각각 검교공파, 문절공파, 충경공파의 시조가 되었다.

4세조 문절공 황서(黃瑞)는 고려 종1품 문하시중을 역임했으며, 원나라를 31번 방문한 공으로 평해를 군으로 승격시켜 평해 황씨 부흥에 기여했다. 문절공파에서는 조선 시대에 1명의 공신이 나왔다.

4세조 충경공 황용(黃墉)은 황서(黃瑞)의 동생으로, 고려 정1품 삼중대광보국(고려 충선왕이 신설한 최고위 관직)을 역임했다. 충경공파에서는 조선 시대에 2명의 공신이 나왔고, 공신 책봉 횟수는 4번이다.

7세조 충경공파 황천계(黃天繼)는 경기전라경상 삼도관찰사를 지냈고, 8세조 황희석(黃希碩)과 함께 조선 태조 이성계를 보좌하여 조선 개국에 기여했다.

8세조 충경공파 양무공 황희석(黃希碩)은 고려에서 청주상만호를 지냈고, 위화도 회군에 참여했으며, 조선 개국공신 2등에 책봉되는 등 총 3번 공신에 책봉되었다. 관직은 지중추원사, 문하시랑찬성사에 이르렀고, 사후 우의정으로 추증되었다.

8세조 검교공파 황유정(黃有定)은 한성판윤, 예조전서, 공조전서, 형조전서를 지냈으며, 정도전의 여동생과 혼인했다. 그의 아들 9세조 황현(黃鉉)은 태종과 세종 대에 성균관 대제학과 대사성을 역임했다.

14세조 문절공파 예빈공파 해월공 황여일(黃汝一)은 임진왜란권율을 보좌하여 선무훈이등공신이 되었고, 1604년 평해황씨 족보를 새로 간행했다.

이 외에도 황정음, 황은비, 황경선, 황병서, 황상민, 황선홍, 황영조 등의 인물이 있다.

2. 1. 주요 선조들

평해 황씨의 주요 선조들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을 빛냈다.

3세조 황유중(黃裕中)은 고려 종1품 문하시중(조선의 정승, 현재의 총리)을 역임했다. 그의 아들 황진, 황서(黃瑞), 황용은 각각 검교공파, 문절공파, 충경공파의 시조가 되었다.

4세조 문절공 황서(黃瑞)는 고려 종1품 문하시중을 역임했으며, 원나라를 31번 방문한 공으로 평해를 군으로 승격시켜 평해 황씨 부흥에 기여했다. 문절공파에서는 조선 시대에 1명의 공신이 나왔다.

4세조 충경공 황용(黃墉)은 황서(黃瑞)의 동생으로, 고려 정1품 삼중대광보국(고려 충선왕이 신설한 최고위 관직)을 역임했다. 충경공파에서는 조선 시대에 2명의 공신이 나왔고, 공신 책봉 횟수는 4번이다.

7세조 충경공파 황천계(黃天繼)는 경기전라경상 삼도관찰사를 지냈고, 8세조 황희석(黃希碩)과 함께 조선 태조 이성계를 보좌하여 조선 개국에 기여했다.

8세조 충경공파 양무공 황희석(黃希碩)은 고려에서 청주상만호를 지냈고, 위화도 회군에 참여했으며, 조선 개국공신 2등에 책봉되는 등 총 3번 공신에 책봉되었다. 관직은 지중추원사, 문하시랑찬성사에 이르렀고, 사후 우의정으로 추증되었다.

8세조 검교공파 황유정(黃有定)은 한성판윤, 예조전서, 공조전서, 형조전서를 지냈으며, 정도전의 여동생과 혼인했다. 그의 아들 9세조 황현(黃鉉)은 태종과 세종 대에 성균관 대제학과 대사성을 역임했다.

14세조 문절공파 예빈공파 해월공 황여일(黃汝一)은 임진왜란 때 권율을 보좌하여 선무훈이등공신이 되었고, 1604년 평해황씨 족보를 새로 간행했다.

이 외에도 황정음, 황은비, 황경선, 황병서, 황상민, 황선홍, 황영조 등의 인물이 있다.

3. 주요 3분파(分派)

평해 황씨는 1세 황온인(黃溫仁)으로부터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 금오장군(金吾將軍) 및 태자검교(太子檢校)를 지냈다. 황온인의 아들 황우정(黃佑精)은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역임했고, 황우정의 아들 황유중(黃裕中)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다.

황유중의 세 아들 대에서 평해 황씨는 크게 세 분파로 나뉘었다. 첫째 아들 황진(黃璡)은 검교공파(檢校公派), 둘째 아들 황서(黃瑞)는 문절공파(文節公派), 셋째 아들 황용(黃瑢)은 충경공파(忠敬公派)의 파조가 되었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평해 황씨는 대부분의 자치단체에서 총인구의 1% 미만을 차지하나, 경상북도 북동부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인다. 특히 청송군에서는 1,001명(총인구의 4.3%), 관향인 울진군에서는 1,651명(총인구의 3.62%)으로, 3%를 초과하는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4. 검교공파(檢校公派) : 황유중의 첫째인 4세 황진(黃璡)의 후손들

검교공파(檢校公派)의 시조는 황유중의 첫째 아들인 4세 황진(黃璡)이며, 고려(高麗)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냈다.

➝ 5세(지정, 서정)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많은 자치단체의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 미만이지만, 경상북도 북동부 일대에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경상북도 청송군 (1,001명, 총인구의 4.3%)과 관향인 경상북도 울진군 (1,651명, 총인구의 3.62%)에서는 3%를 초과하고 있다.

==== 5세 황지정(黃之挺) ====

고려 고종 때 통덕랑 벼슬을 지냈다.[11]

==== 7세 황근(黃瑾) ====

7세 황근(黃瑾)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다.

4. 1. 5세 황지정(黃之挺) : 4세 황진의 첫째 아들.

고려 고종 때 통덕랑 벼슬을 지냈다.[11]

4. 1. 1. 7세 황근(黃瑾) : 6세 황원로의 넷째 아들.

7세 황근(黃瑾)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요약(summary) 및 원본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2. 7세 황규(黃珪) : 6세 황원로(黃原老)의 다섯째 아들.

7세 황규(黃珪)에 대한 기록은 현재까지 전해지는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4. 1. 3. 7세 황현(黃㻆) : 6세 황원로(黃原老)의 여섯째 아들.

7세 황현(黃㻆)은 6세 황원로(黃原老)의 여섯째 아들이다.

4. 2. 5세 황서정(黃西挺) : 4세 황진의 둘째 아들.

고려 시대 충의부판관을 역임하였다.

{| class="wikitable"

|-

| → 6세 황문신(黃文信) : 5세 황서정(黃西挺)의 셋째 아들. 고려(高麗). 직제학(直提學), 형조전서(刑曹典書).

→ 7세 황천부(黃天富) : 6세 황문신(黃文信)의 첫째 아들. 고려(高麗). 내금위장(內禁衛將), 한림원직강(翰林院直講).불권헌공파(不倦憲公派) - 파시조 : 11세 황정(黃玎)
7세 황천귀(黃天貴) : 6세 황문신(黃文信)의 둘째 아들. 고려(高麗), 충의부판관(忠義府判官).천귀공파(天貴公派) - 파시조 : 7세 황천귀(黃天貴)



|}

4. 2. 1. 7세 황천부(黃天富) : 6세 황문신의 첫째 아들.

7세 황천부(黃天富)에 대한 기록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4. 2. 2. 7세 황천귀(黃天貴) : 6세 황문신의 둘째 아들.

7세 황천귀(黃天貴)는 6세 황문신(黃文信)의 둘째 아들이다.

4. 3. 검교공파(檢校公派) 항렬

wikitable

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
口주(周)口진(鎭)영(永)병(秉)口섭(燮)재(載)
재(在)
口석(錫)하(河)口주(柱)口환(煥)기(基)口흠(欽)태(泰)口식(植)병(炳)口규(奎)종(鍾)口순(淳)


5. 문절공파(文節公派) - 황유중의 둘째인 4세 황서(黃瑞)의 후손들

문절공파(文節公派)의 시조는 황유중의 둘째인 4세 '''황서'''(黃瑞)이다. 황서는 고려 시대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금어대(金魚袋), 첨의평리(僉議評理),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다.[12]


  • 5세 황종량(黃宗亮) : 황서(黃瑞)의 외아들. 고려 시대에 호부전서(戶部典書)를 지냈다.[12]
  • 6세 황세영(黃世英) : 황종량(黃宗亮)의 외아들. 고려 시대에 향공진사(鄕貢進士), 예빈사동정(禮賓寺同正)을 지냈다.[12]
  • 7세 황용기(黃龍起), 황운기(黃雲起)[12]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많은 자치단체의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 미만이지만, 경상북도 북동부 일대에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경상북도 청송군 (1,001명, 총인구의 4.3%)과 관향인 경상북도 울진군 (1,651명, 총인구의 3.62%)에서는 3%를 초과하고 있다.[12]

5. 1. 7세 황용기(黃龍起) : 6세 황세영의 첫째 아들

'''7세 황용기(黃龍起)'''는 6세 황세영의 첫째 아들이다. 고려 시대에 예빈정(禮賓正)을 지냈다.

황용기의 아들은 8세 황길보(黃吉甫)이며, 병사(兵使)를 지냈다.

황길보의 아들은 9세 황득재(黃得載)이며, 함풍현감(咸豊縣監)을 지냈다.

황득재의 아들은 10세 황옥숭(黃玉崇)이며,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지냈다.

황옥숭의 외동 아들은 11세 황보곤(黃輔坤)이며, 생원(生員)이었다.

황보곤의 첫째 아들은 12세 황우(黃瑀)이며, 성주목사(星州牧使)를 지냈다.

황우의 셋째 아들은 13세 황응징(黃應澄)이며, 통정대부(通政大夫) 및 장예원판결사(掌隸院判決事)로 추증되었다.

5. 1. 1. 예빈공파(禮賓公派) - 7세 황용기(黃龍起)

주어진 `summary`가 비어 있으므로, `source`에서 `title` ("평해 황씨") 및 `sectionTitle` ("예빈공파(禮賓公派) - 7세 황용기(黃龍起)")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아야 합니다. 그러나 제공된 `source`에는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따라서,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5. 2. 7세 황운기(黃雲起) : 6세 황세영의 둘째 아들

황운기(黃雲起)는 고려 시대 인물로, 내자소윤(內資少尹)을 역임했다. 6세 황세영의 둘째 아들이다. 황씨 분파 중 소윤공파(少尹公派)의 파시조이다.

5. 2. 1. 소윤공파(少尹公派) - 7세 황운기(黃雲起)

5. 3. 문절공파(文節公派) 항렬

wikitable

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
윤(潤)口식(植)찬(燦)口달(達)종(鍾)口영(泳)동(東)口희(熙)규(奎)口호(鎬)한(漢)口락(樂)경(炅)口기(基)


6. 충경공파(忠敬公派) - 황유중의 셋째인 4세 황용(黃墉)의 후손들

황용(黃墉)은 고려 시대에 숭록대부(崇祿大夫),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을 지냈다.

황용의 아들 황태백(黃太白)은 고려 시대에 자헌대부(資憲大夫), 형조전서(刑曹典書)를 지냈으며, 조선 태조 때 우의정(右議政)으로 추증되었다.

황태백의 아들 황우(黃祐)는 고려 시대에 가정대부(嘉靖大夫), 병조전서(兵曹典書)를 지냈으며, 조선 태조 때 좌의정(左議政)으로 추증되었다.

황우는 황천록(黃天祿), 황천상(黃天常), 황천복(黃天福), 황천계(黃天啓) 4형제를 두었다.

황천록(黃天祿)은 고려 시대에 자헌대부(資憲大夫),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도판서(判圖判書)를 지냈다. 조선 태조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많은 자치단체의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 미만이지만, 경상북도 북동부 일대에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경상북도 청송군 (1,001명, 총인구의 4.3%)과 관향인 경상북도 울진군 (1,651명, 총인구의 3.62%)에서는 3%를 초과하고 있다.

6. 1. 7세 황천록(黃天祿) : 6세 황우의 첫째 아들

황천록(黃天祿)은 고려 시대에 자헌대부(資憲大夫), 밀직부사(密直副使), 판도판서(判圖判書)를 지냈다. 조선 태조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다.

6. 1. 1. 양무공파(襄武公派) - 8세 황희석(黃希碩)

6. 2. 7세 황천상(黃天祥) : 6세 황우의 둘째 아들

7세 황천상(黃天祥)은 고려 시대 문하시중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를 지냈다.

8세 황지석(黃之碩)은 7세 황천상의 외아들로, 조선 시대에 자헌대부(資憲大夫), 한성판윤(漢城判尹),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하였다.

9세 황한우(黃旱雨)는 8세 황지석의 첫째 아들로, 조선 시대에 통훈대부(通訓大夫), 군자감(軍資監)을 지냈다.

9세 황득우(黃得雨)는 8세 황지석의 둘째 아들로, 조선 시대에 통훈대부(通訓大夫), 단천군수(端川郡守)를 지냈다.

6. 2. 1. 찬성공파(贊成公派) - 7세 황천상(黃天祥)

요약(summary)에 내용이 없으므로, 찬성공파(贊成公派) - 7세 황천상(黃天祥)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6. 3. 7세 황천복(黃天福) : 6세 황우의 셋째 아들

'''황천복(黃天福)'''은 고려 시대 밀직부사(密直府事)를 지냈다. 7세 황천복의 외아들 황갑석(黃甲碩)은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역임했다.

6. 3. 1. 밀직공파(密直公派) - 7세 황천복(黃天福)

(요약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원본 소스도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6. 4. 7세 황천계(黃天繼) : 6세 황우의 넷째 아들

황천계(黃天繼)는 경기, 전라, 경상 삼도관찰사(京畿全羅慶尙 三道觀察使)와 협찬창조공신(協贊剏造功臣)을 지냈다. 8세 황희석과 함께 영흥에서 태조 이성계를 보좌하기 시작했다.

아들로는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낸 황을석(黃乙碩)이 있다.

6. 4. 1. 관찰사파(觀察使派) - 7세 황천계(黃天繼)

6. 5. 충경공파(忠敬公派) 항렬

wikitable

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
口구(九)병(昞)口범(範)
기(起)
인(仁)
口택(澤)
口의(義)
동(東)
예(禮)
口희(熹)
口지(智)
철(喆)
신(信)
口호(鎬)
승(承)口식(植)욱(煜,郁)口규(奎)종(鐘)口제(濟)


6. 6. 경주 황씨(慶州 黃氏) 항렬

wikitable

9세10세11세12세13세14세15세16세17세18세19세20세
口석(錫)영(奎)
해(海)
원(源)
口근(根)희(熙)
병(炳)
영(營)
口기(基)금(金)口수(水)목(木)口화(火)토(土)口금(金)수(水)


7. 평해 황씨의 기원

평해 황씨는 물론이고, 한국의 거의 모든 황씨는 중국 한나라 사람 도시조 황락으로부터 계를 이어왔다.
황락(黃洛)의 선조중국의 삼황오제인 황제 헌원씨의 손자가 전욱 고양씨이고, 이 전욱의 현손이 요순시대에 살았던 혜련(惠连)이다. 제요 도당씨는 혜련에게 황하의 치수를 맡겼고, 보상으로 황(黃)이라는 성과 운(云)이라는 이름 그리고 삼호(参胡, 현재의 섬서성 펀양시)땅을 받아 황나라(黃國)를 세웠다.[15]

황나라는 춘추전국시대인 BC 648년에 초나라에게 멸망하였다. 한나라는 전한시대에, 황씨들을 형주 강하군(현재는 후베이성 우한 일대)으로 이주시켜 살게하였다. 대표적인 인물로 춘추전국시대 사군자 중 한 명인 초나라 춘신군 황헐과 한나라 말의 촉나라 황충, 오나라 황개, 촉나라 제갈량의 부인 황씨(黃氏)가 있다. 대표적인 지명으로 황석(黄石), 황강(黃冈), 황학루(黄鹤楼) 등이 있다.[15]
황락(黃洛)의 일생황락은 전한 성제 건시(建始) 3년(BC 30년) 신묘(辛卯)년에 출생하여 수화(綏和) 1년(BC 8년) 계축(癸丑)년에 입신하고, 후한 광무제 건무(建武) 4년(28년) 무자(戊子)년에 대장군(大將軍) 강하후(江夏侯)로 봉해졌다. 이후, 한나라 때 사신으로 배를 타고 가다가 풍랑으로 표류하여 당시 고구려 땅인 근을어현(斤乙於縣 :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 이르렀고 이후 이곳에 정착했다. 황락의 일생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울진군 기성면 척산3리에 위치한 문절공황서신도비명(文節公黃瑞神道碑名)에 기록되어 있다.

시조의 표류지인 월송정 자리는 원래 신라시대에 화랑들이 무예를 단련하던 곳으로 고려시대에 월송정이 건축되었다. 또한 도시조 황락을 기리는 제단인 시조단이 월송정 바로 옆 소나무 숲에 위치한다.

황락의 후손 중에 갑고(甲古), 을고(乙古), 병고(丙古) 삼형제가 있었는데, 첫째 갑고는 기성군(箕城君), 둘째 을고는 장수군(長水君), 셋째 병고는 창원백(昌原伯)으로 봉해졌다고 한다.
평해 구씨와의 관계조선 후기 현종 때, 정시술이 저술한 『동국제성(東國諸姓)』과 1927년 일제강점기 최종해가 저술한 『동국만성보(東國萬姓譜)』에 따르면, 황락은 중국 후한 유신으로 서기 28년(후한 광무제 건무 4년, 신라 유리 이사금 5년) 구대림 장군과 함께 교지국(베트남)에 사신으로 가던 길에 풍랑을 만나 월송정에 이르렀다고 한다. 황락은 신라에 귀화하여 평해에 정착하여 황장군으로 불리며 살았으며, 한국 황씨(黃氏)의 도시조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평해 구씨의 시조가 된 구대림이 살았다는 곳은 구미진(丘尾津)이라 부른다. 다만, 평해 구씨 기록으로 보면 구대림 장군은 당나라 사람으로 663년(신라 문무왕 3) 일본에 사신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난 것으로 되어있어 기록이 상이하고 시기가 후한이 아닌 당나라이다. 그래서 황락과 구대림이 같은 시대에 한반도로 넘어왔다는 기록은 허구로 보여진다.

7. 1. 황락(黃洛)의 선조

중국의 삼황오제인 황제 헌원씨(黃帝 軒轅氏)의 손자가 전욱 고양씨(顓頊 高陽氏)이고, 이 전욱의 현손이 요순시대에 살았던 혜련(惠连)이다. 제요 도당씨(帝堯 陶唐氏)는 혜련에게 황하의 치수를 맡겼고, 보상으로 황(黃)이라는 성과 운(云)이라는 이름 그리고 삼호(参胡, 현재의 섬서성 펀양시)땅을 받아 황나라(黃國)를 세웠다.[15]

황나라는 춘추전국시대인 BC 648년에 초나라에게 멸망하였다. 한나라는 전한시대에, 황씨들을 형주 강하군(현재는 후베이성 우한 일대)으로 이주시켜 살게하였다. 대표적인 인물로 춘추전국시대 사군자 중 한 명인 초나라 춘신군 황헐(黃歇)과 한나라 말의 촉나라 황충, 오나라 황개, 촉나라 제갈량의 부인 황씨(黃氏)가 있다. 대표적인 지명으로 황석(黄石), 황강(黃冈), 황학루(黄鹤楼) 등이 있다.[15]

7. 2. 황락(黃洛)의 일생

황락(黃洛)은 전한 성제 건시(建始) 3년(BC 30년) 신묘(辛卯)년에 출생하여 수화(綏和) 1년(BC 8년) 계축(癸丑)년에 입신하고, 후한 광무제 건무(建武) 4년(28년) 무자(戊子)년에 대장군(大將軍) 강하후(江夏侯)로 봉해졌다. 이후, 한나라 때 사신으로 배를 타고 가다가 풍랑으로 표류하여 당시 고구려 땅인 근을어현(斤乙於縣 :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에 이르렀고 이후 이곳에 정착했다. 황락(黃洛)의 일생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울진군 기성면 척산3리에 위치한 문절공황서신도비명(文節公黃瑞神道碑名)에 기록되어 있다.

시조의 표류지인 월송정 자리는 원래 신라시대에 화랑들이 무예를 단련하던 곳으로 고려시대에 월송정이 건축되었다. 또한 도시조 황락(黃洛)을 기리는 제단인 시조단이 월송정 바로 옆 소나무 숲에 위치한다.

황락의 후손 중에 갑고(甲古), 을고(乙古), 병고(丙古) 삼형제가 있었는데, 첫째 갑고는 기성군(箕城君), 둘째 을고는 장수군(長水君), 셋째 병고는 창원백(昌原伯)으로 봉해졌다고 한다.

7. 3. 평해 구씨와의 관계

조선 후기 현종 때, 정시술이 저술한 『동국제성(東國諸姓)』과 1927년 일제강점기 최종해가 저술한 『동국만성보(東國萬姓譜)』에 따르면, 황락은 중국 후한 유신으로 서기 28년(후한 광무제 건무 4년, 신라 유리 이사금 5년) 구대림 장군과 함께 교지국(베트남)에 사신으로 가던 길에 풍랑을 만나 월송정에 이르렀다고 한다. 황락은 신라에 귀화하여 평해에 정착하여 황장군으로 불리며 살았으며, 한국 황씨(黃氏)의 도시조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평해 구씨의 시조가 된 구대림이 살았다는 곳은 구미진(丘尾津)이라 부른다. 다만, 평해 구씨 기록으로 보면 구대림 장군은 당나라 사람으로 663년(신라 문무왕 3) 일본에 사신으로 가다가 풍랑을 만난 것으로 되어있어 기록이 상이하고 시기가 후한이 아닌 당나라이다. 그래서 황락과 구대림이 같은 시대에 한반도로 넘어왔다는 기록은 허구로 보여진다.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평해황씨 平海黃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8
[4] 웹사이트 황씨종친회 http://www.hwang.or.[...] 2022-09-04
[5]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6] 웹인용 황씨족보 http://www.hwang.ne.[...] 2023-02-26
[7]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68 장수황씨(長水黃氏)·평해황씨(平海黃氏)"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4-02-18
[8] 문서 LST_256_647_0603 한국학중앙연구원
[9] 서적 평해황씨초간세보서(平海黃氏草刊世譜序) 1604
[10] 문서 이 문장은 최초로 족보를 편집한 중국 송나라 소식이 서문에 쓴 이후로, 족보에서 상투적으로 인용하는 문장이기도 하다.
[11] 뉴스 "[2015 선비신문]미균 황유정 선생 추모 전국한시백일장 열린다" http://www.yjinews.c[...] 영주시민신문 2023-02-23
[12] 웹인용 황씨족보
[13] 웹인용 http://www.hwang.ne.[...]
[14] 웹인용 http://www.hwang.ne.[...]
[15] 뉴스 "《『황국사(黃國史)』, 황씨 뿌리를 찾는 여행 재미 쏠쏠》" http://www.k-today.c[...] 오늘의 한국 2022-02-23
[16] 웹인용 월송정 http://tour.gb.go.kr[...] 2020-01-12
[17] 웹인용 울진 평해황씨 시조단 http://www.dapsa.kr/[...] 2020-01-13
[18] 뉴스 "[2015 선비신문]미균 황유정 선생 추모 전국한시백일장 열린다" http://www.yjinews.c[...] 영주시민신문 2020-01-12
[19] 뉴스 "[종가] 20. 울진 평해황씨 '해월종택'"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20-01-12
[20] 웹인용 황서 신도비 http://uljin.grandcu[...] 2020-01-12
[21] 웹인용 황서 신도비 http://uljin.grandcu[...] 2020-01-12
[22] 뉴스 "[2015 선비신문]미균 황유정 선생 추모 전국한시백일장 열린다" http://www.yjinews.c[...] 영주시민신문 2020-01-12
[23] 웹인용 황준량(黃俊良) https://encykorea.ak[...] 2020-01-12
[24] 웹인용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관리번호 2418 황만영 http://e-gonghun.mpv[...] 2020-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